대통령기록전시관의 '대통령의 역할' 전시실 [사진=연합뉴스]
대통령기록전시관의 '대통령의 역할' 전시실 [사진=연합뉴스]

【뉴스퀘스트=윤구현 기자】 미국 대통령 가운데 린든 B 존슨과 리처드 닉슨 만큼 평가가 엇갈리는 이는 없을 것이다.

존슨 대통령은 케네디 암살이후 잔여 임기를 채우고 후속 대선에서 승리했다. 텍사스 출신답게 거친 언행으로 뒷담화에 많이 올랐지만 지금까지 미국 의료보장 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메디케어를 출범시켰다.

`복지 대통령‘이라는 닉네임이 붙은 연유다.

닉슨 대통령은 재선 캠페인 동안 상대방 캠프에 대한 도청 사실이 드러나는 바람에 물러났다.

능력에서 만큼은 역대 최강이었다는 평가지만 스스로 물러나지 않았다면 탄핵당할 수밖에 없었을 정도로 말로는 최악이었다.

하지만 그가 만든 환경청(EPA)은 후대에 그를 `환경 대통령’으로 불리게 만들었다. 50여년전 정부 직제에 환경 문제를 담아낸 건 닉슨의 통찰력을 보여준 증거라는 평가다.

두 사람 다 대통령이라는 자리가 갖는 의미를 다시 생각해 보게 만드는 사례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다.

박정희 대통령의 공과에 대해서 아직까지도 논란이 크다.

한일기본조약을 통해 들여온 자금은 우리나라 산업화의 마중물이 됐지만 조약 자체에 대한 비판은 여전하다.

경부고속도로 건설은 당시로서는 가장 시급한 과제는 아니었다는 비판이 있지만 결과적으로 경제개발의 기폭제가 됐다.

김대중 대통령도 외환위기를 극복했고, 정보화 사회를 앞당긴 공로가 크지만 그 보다는 정치적 탄압을 가장 많이 받았던 당사자임에도 정치보복과 거리를 둔 점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이들이 많다.

노무현 대통령 역시 자기 진영 사람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한미FTA 체결이나 제주해군기지 건설을 결정했다.

이들 대통령의 공통점은 인기도 없고, 급박한 사정이 있는 것도 아님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해낸 데 있다.

내년 3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요새 후보들 간 정책 경쟁이 치열하다.

주목하고 싶은 건 후보들이 내놓고 있는 정책들이라는 게 크게 보면 비슷비슷하다는 점이다.

자영업자 피해대책만 해도 여야 모두 100조원을 얘기하고 있다. 서로 갑론을박하고 있지만  그 얘기가 그 얘기다.

어느 쪽이 정권을 잡든 간에 현재의 문제들에 대한 해법은 유사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줄 뿐이다.

박근혜 캠프와 문재인 캠프에서 선거를 이끌었던 김종인 위원장이 이번에는 윤석열 캠프를 이끌고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결국 후보들 간 차이는 `현재‘가 아니라 `미래‘에 있다는 생각이 든다.

누가 과연 나라의 앞날을 위해 꼭해야 하지만 인기도 없고 욕먹을 게 뻔한 일에도 과감하게 손을 댈 수 있을지 말이다.

70여일 남은 기간 동안 살펴봐야 할 포인트다.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