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금융권 대출 확대, 건설 규제 완화 등 정책 시행해야"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관련 업계는 수익성 악화 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융권이  대출 확대 등 선제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뉴스퀘스트]
건설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관련 업계는 수익성 악화 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금융권이  대출 확대 등 선제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뉴스퀘스트]

【뉴스퀘스트=권일구 기자 】 “이러다 다 죽게 생겼습니다. 안 좋다 안 좋다 했지만 정말 앞으로 어떻게 버텨야 할지 먹고살 일만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합니다” (아파트 분양 업계 종사자 A씨)

“자잿값이 올랐는데 수익도 늘었냐고요? 그건 아니에요. 잘 팔려야 좋은 건데 현장이 그 만큼 줄었기 때문에 물건이 나가질 않아요. 정말 심각합니다” (건자재 판매 종사자 B씨)

우리나라 대표 기간산업인 건설업이 침체의 늪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건설사를 비롯해 자재업체, 부동산 서비스 업계 등 건설업 관련 업계도 수익이 악화되는 등 몸살을 앓고 있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건설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금융권에서 대출 확대 및 금리 인하 등 선제적인 조치를 풀어 수요 활성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2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17.4% 감소한 189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물가를 감안한 특정기준시점의 가격(불변금액)은 2015년 기준 142조8000억원으로 9년래 최저치다.

고물가와 고금리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 확대 등의 영향으로 민간수주의 경우엔 30%가까이 쪼그라들었다. 건설업계는 실제 건설경기 침체가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특히, 주택수주의 경우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재건축을 비롯한 신규주택 수주의 경우엔 전년 대비 33% 감소했고, 오피스텔 등 상업용 부동산 수주도 같은 기간 34.5%나 감소했다.

신규주택 수주 감소 등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곳은 아파트 등의 부동산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분양대행 업계다.

한국부동산분양서비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종사자는 약 4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은 신규 분양이 감소하고 판매율마저 저조하자 수익감소 등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분양 대행업 종사자 A씨는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신규 분양 물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주택 공급량 또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라며 “수도권 시장도 심각하지만 지방 도시로도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부동산 상품을 팔아야 하는 입장에서 무엇보다도 공급과 수요가 균형을 이뤄야 하는데 경기가 어렵다 보니 수요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라며 “살 사람이 없으니 수익은 당연히 줄어 들 수 밖에 없고, 관련 종사자들 사이에선 이젠 하루 빨리 다른 일을 찾아봐야 할 것 같다는 얘기가 수 없이 들린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시행 업계도 상황은 비슷하다. 현장에서는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으로 자잿값이 기존에 비해 무려 40% 가량 인상됐고, 여기에 PF 조달이 어렵다 보니 수주 자체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모습이다. 오히려 적자가 난다는 이유에서다.

건자재 판매업계 역시 수익 악화를 호소했다.  

건자재 소매업 종사자 B씨는 “자잿값도 많이 올랐지만 규모가 작은 공사 현장도 그 만큼 줄었기 때문에 오히려 재고가 쌓이고 있다”며 “올해는 작년보다 더 힘들 것으로 보여 어떻게 버텨야 할지 고민이다”고 말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건설 경기 침체의 영향은 직접적인 건련 업종뿐만 아니라 관련 서비스 업종, 기타 관련 업종까지 파급될 수 있다”며 “이는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고 실업률 증가, 국민 소득 감소, 경제 성장률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건설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공공 투자 확대, 건설 규제 완화, 건설 혁신 기술 개발 지원, 건설 인력 양성, 금융권의 지원 확대 등의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상동 구도 D&C 대표는 “정책적으로 많이 풀어야 줘야 하는 부문이 바로 금융권이다”라며 “PF 및 프릿지 연장, 신규 대출 등의 정책을 펴야한다”는 입장이다.

이어 “특히 주택수요 활성화를 위해선 재건축이나 소규모 정비사업에 대한 건폐율 상향 등을 통해 정비사업 활성화 정책과 함께 미분양 증가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방의 경우 전용 85㎡이하를 주택수에서 제외하고 다주택자에 취득세를 중과하는 않는 등의 전향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상을 보는 바른 눈 '뉴스퀘스트'>

 
저작권자 © 뉴스퀘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